방통대 한국어학이랑 같이 구매했어요아는 교수님께서 방통대 교재가 시험 준비하기에 제일 깔끔하고설명에 논란이 없는 내용들만 들어가있다고 하셔서.. 같이 구매했네요후회없어요 ㅎㅎ모든 설명이 자세하게 들어가있다기보다는이론이나 개략적인 개요들이 깔끔하게 보기에 잘 정리되어 있어서기본서 혹은 입문으로 시작하기에 좋은 것 같아요다른 부족한 부분들은 인터넷이나 책 찾아보면서 공부해야 할 것 같구요시험 화이팅!!
한국어 교원이 되고자 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기획된 본 교재는 두 권으로 되어 있다. 제1권인 한국어 교원을 위한 한국어학은 한국어 교육에 토대가 되는 국어학에 관한 내용들이 중심을 이루지만 일반 언어학에 관한 내용들인 ‘언어학 개론, 대조언어학, 외국어 습득론’에 관한 내용도 추가하였다. 제2권인 한국어 교원을 위한 한국어 교육학은 한국어 교육에 직접적으로 관련되는 내용들로 구성되어 있다.
제1장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수법 [정명숙]
1. 한국어교육의 개념과 범위
2. 한국어교육의 목표
3. 한국어교육의 특성
4. 한국어교육의 원리
5. 한국어 교수법
1) 도입
2) 설명
3) 연습
4) 사용
5) 마무리
제2장 한국어 발음 교육 [김선정]
1. 발음 교육의 필요성
2. 발음 교수의 모형
1) 접근 방식에 따른 발음 교수의 모형
2) 교육 단계에 따른 발음 교수의 모형
3. 발음 지도를 위한 활동 유형
1) 듣고 구별하기
2) 듣고 따라 하기
3) 음성 훈련
4) 최소대립쌍 연습
5) 소리 내어 읽기 및 역할극
6) 학습자의 발화 녹음하기
7) 드라마 더빙하기
4. 발음 교육 시 주의할 점
5. 한국어 모음과 자음의 특징 및 교육법
1) 한국어의 모음
2) 한국어의 자음
6. 한국어 음절의 특징 및 교육법
7. 한국어 음운 변동의 특징 및 교육법
1) 음절의 끝소리 발음
2) 인접한 두 자음의 발음: 자음 동화
3) 인접한 두 자음의 발음: 경음화
4) 인접한 두 자음의 발음: 격음화
5) 치조음과 ‘ㅣ’ 모음의 발음: 구개음화
6) ‘ㄴ’ 첨가
제3장 어휘 교육론 [강현화]
1. 어휘 교육의 개념
2. 언어 교수에서의 어휘
1) 어휘 단위
2) 어휘 능력
3. 어휘 교수 내용
1) 단어 형성법에 따른 어휘 교육
2) 어휘 의미 관계에 따른 어휘 교수
3) 그 밖의 어휘 교수
4) 구로 나타나는 어휘 교수
5) 어휘 학습에서의 대조 분석
4. 어휘 선정
1) 어휘량 측정 및 산정
2) 어휘 등급화
5. 어휘 교수 방안
1) 어휘 제시 방안
2) 어휘 제시 고려 사항
3) 암기하기와 확인
4) 통합적 어휘 학습 전략
6. 교실에서의 어휘 학습 활동
1) 과제 활동
2) 단어 게임
7. 맺음말
제4장 한국어 문법 교육론 [강현화]
1. 문법 교수의 필요성
2. 문법 교수의 원리
3. 문법 교육의 내용
1) 문법 단위와 표현 단위
2) 문법 항목의 등급화
3) 문법과 기능
4. 문법 교수의 방법
1) 문법 교수의 원칙
2) 문법 교수의 원리
3) 의사소통 교수에서의 문법 교수의 방법론
5. 문법 교수의 방안
1) 문법 교육의 단계
2) 문법 연습의 유형
3) 문법 설명과 교실 활동
4) 숙달도별 문법 교수
5) 실제성을 기반으로 한 문법 교수
6. 맺음말
제5장 한국어 기능 교육론 1(읽기) [이미혜]
1. 읽기의 개념과 특성
2. 읽기 교육의 목표와 내용
1) 읽기 교육 목표
2) 읽기 교육 내용
3. 읽기 교육 이론
1) 읽기 모형
2) 배경지식 활용
4. 읽기 자료와 전략
1) 읽기 자료 구성
2) 읽기 전략 및 활동
3) 어휘 지도
5. 읽기 수업 구성
1) 수업 구성 원리
2) 수업 구성 단계
3) 읽기 수업의 실제
제6장 한국어 기능 교육론 2(쓰기) [이미혜]
1. 쓰기의 개념과 특성
1) 불변성
2) 산출 시간의 소요
3) 글쓴이와 독자의 거리
4) 철자
5) 복잡성
6) 다양한 어휘
7) 형식성
2. 쓰기 교육의 목표 및 내용
1) 쓰기 교육의 중요성
2) 쓰기 교육 목표
3) 쓰기 교육 내용
3. 쓰기 교육의 흐름
4. 쓰기 교육 원리
1) 내용, 구조, 문법, 철자의 균형 잡힌 교육
2) 학습 요구를 반영한 실제적 쓰기와 학문적 쓰기 포함
3) 과정 중심의 쓰기 수업
4) 상호작용의 촉진
5) 글쓰기에 영향을 미치는 언어문화 특성 고려
5. 쓰기 수업 활동
1) 통제된 쓰기
2) 유도된 쓰기
3) 자유로운 쓰기
6. 쓰기 수업 구성
1) 쓰기 전 단계
2) 쓰기 단계 활동
3) 쓰기 후 단계 활동
제7장 한국어 기능 교육론 3(말하기) [이미혜]
1. 말하기의 개념과 특성
1) 무리 짓기
2) 중복성
3) 축약형
4) 수행 변인
5) 구어체
6) 발화 속도
7) 억양과 강세
8) 상호작용
2. 말하기 교육의 목표 및 내용
1) 말하기 교육의 중요성
2) 말하기 교육 목표
3) 말하기 교육 내용
3. 말하기 교육 원리
1) 정확성과 유창성의 균형 있는 추구
2) 듣기와 말하기의 연계
3) 학습자 동기 부여 및 적극적인 참여
4) 상호작용의 촉진
5) 실제적인 과제 수행
6) 문장, 담화 단위에서의 발음 연습
4. 말하기 수업 활동
1) 문형 중심의 통제된 연습
2) 인터뷰 활동
3) 정보 결함 활동
4) 역할극
5) 문제 해결 활동
5. 말하기 수업 구성
1) 도입 단계
2) 제시 단계
3) 연습 단계
4) 활용 단계
5) 마무리 단계
6. 말하기 오류 교정
제8장 한국어 기능 교육론 4(듣기) [이미혜]
1. 듣기의 개념과 특성
2. 듣기 교육의 목표와 내용
1) 듣기 교육 목표
2) 듣기 교육 내용
3. 듣기 교육의 흐름
4. 듣기 교육의 자료 구성
1) 자료 구성의 원칙
2) 듣기 자료 유형과 주제
5. 듣기 수업 활동
1) 수업 활동 유형
2) 듣기 활동의 예
6. 듣기 수업 구성
1) 수업 구성 원리
2) 수업 구성 단계
7. 듣기 수업의 실제
제9장 한국어 교육용 부교재 제작 및 활용법 [김은애]
1. 한국어 교육용 부교재의 의의
2. 한국어 교육용 부교재 선택 및 제작
1) 한국어 교육용 부교재의 정의
2) 한국어 교육용 부교재의 사용 목적
3) 한국어 교육용 부교재의 기능
4) 교육용 부교재의 선택 기준
5) 교육용 부교재 선택 시 고려할 점
3. 한국어 교육용 부교재의 제작 및 활용법
1) 한국어 교육용 부교재 제작 시 주의할 점
2) 교육용 부교재의 종류와 활용
4. 맺음말
제10장 한국어 평가론 [최은규]
1. 평가의 개념
2. 평가의 기능
3. 평가의 요건
1) 타당도
2) 신뢰도
3) 실용도
4. 평가의 종류
1) 배치 평가
2) 진단 평가
3) 성취도 평가
4) 숙달도 평가
5) 직접 평가와 간접 평가
6) 속도 평가와 역량 평가
5. 평가 문항의 유형
1) 선다형
2) 진위형
3) 연결형
4) 단답형
5) 규칙 빈칸 메우기
6) 작문
7) 구두 면접
8) 받아쓰기
9) 번역
6. 문항 개발 시 유의 사항
1) 분명한 평가 목표
2) 언어 능력의 평가
3) 실제성 있고 다양한 자료
4) 명료한 선택지
5) 분명한 문항 지시문
6) 명확한 그림과 도표 제시
7) 유형과 난이도에 따른 문항 배열
8) 국지 종속성 제거
9) 학습자의 준비
7. 기능별 평가
1) 듣기 평가
2) 말하기 평가
3) 읽기 평가
4) 쓰기 평가
8. 출제 과정
1) 학습 목표 확인 및 평가 항목 결정
2) 학습 목표에 따른 평가 세부 계획서 작성
3) 평가 문항 작성
4) 평가 문항 검토
5) 최종 편집 후 시험 실시 준비
6) 시험 실시 결과의 차후 평가 활용
7) 평가 결과의 세환 효과 활용
9. 채점
1) 쓰기 평가의 채점
2) 말하기 평가의 채점
10. 맺음말
제11장 한국문화교육론 [김종수]
1. 한국문화교육의 의의
2. 한국문화교육의 이해
1) 문화의 개념과 문화 교육의 목적
2) 문화 교육과 상호문화적 의사소통
3) 한국문화교육의 내용과 방향
3. 한국문화교육의 방법
1) 교실 내 활동
2) 교실 밖 활동
3) 매체를 활용한 한국문화교육 방법
4. 맺음말
카테고리 없음